1. 깃허브에 들어가서 원하는 프로젝트(레포지토리)의 URL을 복사한다.
2. 깃허브의 프로젝트를 연동할(가져올) 폴더 만들기
3. Git Bash로 해당 프로젝트 경로로 이동
(cd 경로 : 해당 경로로 이동)
(cd .. : 상위 폴더로 이동)
(ls : 해당 폴더(경로)의 파일 및 폴더 목록 보여주기)
4. git clone 명령어를 통해 폴더로 깃허브 프로젝트 가져오기(clone)
(git clone 위에서복사한URL)
5. 개인 작업
6. git remote로 원격저장소(연동할 GitHub 레포) 설정
(git remote add 사용자지정_저장소이름 URL주소 - 해당 URL주소로 저장소이름으로 원격저장소를 설정)
(git remote -v : 현재 설정되어있는 원격저장소 목록 보기)
6. git add
(git add 파일이름 : 해당 파일 add)
(git add . : 모든 파일 add)
7. git commit
(git commit -m "커밋 메시지 내용" : 해당 메시지 내용으로 커밋 진행)
8. 브랜치 생성
(git branch 브랜치이름 : 해당 이름으로 브랜치 생성)
(git branch : 생성되어있는 브랜치 목록 보기)
(git checkout 브랜치이름 : 해당 이름의 브랜치로 전환하기)
9. git push 하기
(git push 원격저장소이름 브랜치이름 : 해당 이름의 원격 저장소로 해당 브랜치로 commit한 내용 push하기)
설정한 원격저장소인 깃허브페이지로 들어가면 push가 정상적으로 처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Git
1개Git) Git Bash를 사용해서 GitHub와 연동하기 (Git clone)
1. 깃허브에 들어가서 원하는 프로젝트(레포지토리)의 URL을 복사한다. 2. 깃허브의 프로젝트를 연동할(가져올) 폴더 만들기 3. Git Bash로 해당 프로젝트 경로로 이동 (cd 경로 : 해당 경로로 이동) (cd .. : 상위 폴더로 이동) (ls : 해당 폴더(경로)의 파일 및 폴더 목록 보여주기) 4. git clone 명령어를 통해 폴더로 깃허브 프로젝트 가져오기(clone) (git clone 위에서복사한URL) 5. 개인 작업 6. git remote로 원격저장소(연동할 GitHub 레포) 설정 (git remote add 사용자지정_저장소이름 URL주소 - 해당 URL주소로 저장소이름으로 원격저장소를 설정) (git remote -v : 현재 설정되어있는 원격저장소 목록 보기) 6. g..
Git 2020.08.24 starmk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