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PostMan을 설치하고 New를 통해 새로운 공간을 할당한다.
1. 사용하고자하는 API의 json 출력을 Postman을 통해 받는다.
GET으로 받아오는 json 데이터의 출력 결과를 밑의 창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예시는 네이버 영화 검색 API의 출력 결과를 가져온다.)
(네이버 api의 경우 Header 데이터로 네이버 api 사용 등록 시에 제공되는 clientId와 clientSecret을 보내야 접근 권한이 주어진다.)
2. http://www.jsonschema2pojo.org/로 이동하여 PostMan을 통해 얻은 json 출력결과를 붙여넣고 조건에 맞게 체크박스를 설정하고 하단의 Zip 버튼을 누른다.
(위 설정은 retrofit을 사용하고 gson converter를 사용하는 자바 기반의 안드로이드를 위한 모델을 제공하는 파일을 만들도록 설정하였다.)
3. Zip 파일을 누르면 자동으로 생성되는 모델.java 파일을 얻을 수 있다.
(위 예시의 경우에는 Movie.java와 Item.java 2개의 파일이 자동으로 생성된다.)
'Android Studio (모바일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Gradle의 dependencies에서 implementation과 compile의 차이? (0) | 2020.08.14 |
---|---|
Retrofit(레트로핏)이란 무엇인가? (0) | 2020.08.14 |
개념정리) 15장 멀티미디어 (0) | 2020.07.13 |
개념정리) 14장 위치 기반 App (0) | 2020.07.13 |
개념정리) 13장 네트워크 (0) | 2020.07.13 |
Android Studio (모바일 프로그래밍)
18개Retrofit 사용을 위한 Model 추가하기 - Postman, jsonschema2pojo 사용
0. PostMan을 설치하고 New를 통해 새로운 공간을 할당한다. 1. 사용하고자하는 API의 json 출력을 Postman을 통해 받는다. GET으로 받아오는 json 데이터의 출력 결과를 밑의 창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예시는 네이버 영화 검색 API의 출력 결과를 가져온다.) (네이버 api의 경우 Header 데이터로 네이버 api 사용 등록 시에 제공되는 clientId와 clientSecret을 보내야 접근 권한이 주어진다.) 2. http://www.jsonschema2pojo.org/로 이동하여 PostMan을 통해 얻은 json 출력결과를 붙여넣고 조건에 맞게 체크박스를 설정하고 하단의 Zip 버튼을 누른다. (위 설정은 retrofit을 사용하고 gson converter를 사..
Android Studio (모바일 프로그래밍) 2020.08.14 starmk95Gradle의 dependencies에서 implementation과 compile의 차이?
https://hack-jam.tistory.com/13 [Gradle] implementation vs compile Gradle dependency 관련해서 검색을 하다보면, 어떤 글에서는 implementation을 사용하고 어떤 글에서는 compile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사실 어떻게 사용해도 돌아가긴 해서, 음... 무슨 차이지?하고 알아 hack-jam.tistory.com
Android Studio (모바일 프로그래밍) 2020.08.14 starmk95Retrofit(레트로핏)이란 무엇인가?
https://onlyfor-me-blog.tistory.com/141
Android Studio (모바일 프로그래밍) 2020.08.14 starmk95개념정리) 15장 멀티미디어
개념정리) 14장 위치 기반 App
개념정리) 13장 네트워크
개념정리) 12장 데이터베이스
개념정리) 11장 프로세스와 스레드
개념정리) 10장 서비스와 방송수신자
개념정리) 9장 리소스와 보안
개념정리) 8장 액티비티(Activity)와 인텐트(Intent)
개념정리) 7장 고급 위젯과 프래그먼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