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IntelliJ 또는 Eclipse 준비, JAVA 11 버전 준비
1. Spring Boot을 통해서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위 사이트로 접속해서 프로젝트에 대한 설정들을 하고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이번 예시에서는 Spring Web과 Thymeleaf 라이브러리를 가져온 프로젝트를 예로 든다.
2. 위 사이트 하단의 GENERATE 버튼을 클릭하면 압축파일이 다운로드되는데,
이 파일의 압축을 풀고, 인텔리제이에서 새 프로젝트로
import project을 통해 압축을 푼 파일 내에 build.gradle 파일을 열어서 프로젝트를 연다.
3. 생성한 프로젝트에서 main 메소드를 실행한다.
그러면 위와 같이 실행된다.
실행결과의 Tomcat 부분의 포트 8080을 확인하고,
(아파치 톰캣은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개발한 서블릿 컨테이너만 있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이다.
톰캣은 웹 서버와 연동하여 실행할 수 있는 자바 환경을 제공하여 자바서버 페이지와 자바 서블릿이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 위키백과)
에 접속하면 제대로 프로젝트가 생성되었는지 알 수 있다.
제대로 프로젝트가 생성되었다면
위와 같은 페이지가 생성되었을 것이다.
(프로젝트가 제대로 생성되지 않았다면, 위 주소로 들어가도 접속이 되지 않는다)
'JAVA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Annotation) @GetMapping, @RequsetMapping 차이 (0) | 2020.08.31 |
---|---|
JAVA Spring) Web server failed to start. Port 8080 was already in use. 해결 방법 (0) | 2020.08.31 |
JAVA Spring) ResponseEntity란 무엇인가? (0) | 2020.08.31 |
Spring Annotation) @ResponseBody (0) | 2020.08.31 |
Spring Annotation) @CrossOrigin (0) | 2020.08.31 |
JAVA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Spring) Web server failed to start. Port 8080 was already in use. 해결 방법
JAVA Spring) ResponseEntity란 무엇인가?
Spring Annotation) @ResponseBody
Spring Annotation) @CrossOrigin